노 스마일(No Smile) 파업



1999년, 홍콩 캐세이퍼시픽 항공사 승무원들은
대대적인 파업을 벌였습니다.

보통 파업은 자기들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하여
일제히 작업을 거부함으로써 사업자에게
타격을 주는 행위를 말합니다.

그런데 항공사 승무원들은 모두 출근했고
비행기 탑승 고객을 맞이하며 평소와 다를 바 없이
모든 일을 절차대로 했습니다.

하지만, 얼마 후 회사 측에서는 항공사 매출이
급감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그리고 서둘러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조사를 했습니다.

이유는 항공사 승무원들은 모두 정상적으로
출근하고 있었지만, 고객을 상대할 때 모두 미소가 없는
무표정한 얼굴로 고객 응대를 하며 일을 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 이 '노 스마일(No Smile)' 파업은
항공사 매출에 큰 악영향을 끼쳤지만
당연히 법적으로 제재할 방법이 없는 파업이었으며
승무원의 노동계약 내용에도 '미소' 부분이
구체적으로 포함돼 있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항공사 승무원들은 고객에게
미소를 짓지 않아도 전혀 상관이 없었습니다.
항공 서비스의 핵심은 안전과 친절인데
그중 친절의 상징인 웃음을 없앰으로써
사업주에게 항의한 것이었습니다.

결국 사측은 승무원들에게 항복하고
요구 조건을 들어줄 수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웃는 얼굴은 타인의 마음도 열게 합니다.
그래서 사람의 얼굴과 표정은 다른 어떤 것보다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의 마음을 한순간에 무장해제 시킬 수 있으며,
병든 마음을 치유하는 놀라운 능력도 있습니다.
그렇게 웃음은 자신에게도 남에게도
행복을 가져다줍니다.


# 오늘의 명언
햇빛은 누구에게나 따뜻한 빛을 준다.
그리고 사람의 웃는 얼굴도 햇빛과 같이 친근감을 준다.
인생을 즐겁게 지내려면 찡그린 얼굴을 하지 말고 웃어야 한다.
– 슈와프 –

 

* 글 출처 "따뜻한 하루"

'아름다운 글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표가 없는 삶  (0) 2024.07.23
어른의 조건  (0) 2024.07.12
아름다운 사람이 세상에 남기는 것  (0) 2024.07.10
영원한 사랑  (0) 2024.07.09
우리 어머니가 확실합니다  (0) 2024.07.08
아름다운 사람이 세상에 남기는 것



'위 세 사람(최완택 목사, 정호경 신부, 박연철 변호사)은
내가 쓴 모든 저작물을 함께 잘 관리해 주기를 바란다.
내가 쓴 모든 책은 주로 어린이들이 사서 읽는 것이니
여기서 나오는 인세를 어린이에게 되돌려주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강아지 똥, 몽실언니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아동문학이자 베스트셀러를, 집필하신 권정생 선생님의
유언 중 일부입니다.

선생님은 1937년 도쿄의 빈민가에서 태어나
조국의 해방을 맞아 가족들과 돌아왔지만,
그래도 여전히 가난한 삶을 살아야 했습니다.

19살에 가슴막염과 폐결핵에 걸렸는데
더 이상 집안에 폐를 끼치고 싶지 않아서 집을 나왔고
만신창이가 된 몸을 이끌고 빌어먹으며 살았습니다.
때로는 깡통에 밥을 꾹꾹 눌러 담아주던 아주머니도
길바닥에 쓰러져 있을 때 물을 길어다 준
할머니도 있었습니다.

자신은 죽을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그들은 그에게 어떻게든 살라고 다독여 주었습니다.
그렇게 평생 가난과 병고에 시달리면서도
따뜻하고 가슴 시린 기적 같은 동화를
쓰신 작가였습니다.

특히 그가 쓴 동화 중에 '강아지 똥'은
남들이 거들떠보지 않는 것,
냄새난다고 인상을 찌푸리게 만드는 것,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을 것 같은 것,
이름도 없는 흰둥이 개가 싸질러 놓고 간 똥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하지만, '강아지 똥'에서 말하고자 했던 내용은
가난한 사람, 약한 사람, 별 볼 일 없는 사람,
버려진 사람, 고통과 고독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였던 것이었습니다.

한마을에 살던 사람들은 선생님이
몹시 가난한 사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평생을 산골의 단칸방 흙집에서 단벌 신사로,
일생을 검소하게 살았습니다.

권정생 선생님은 2007년 5월 세상을 떠났는데
선생님의 장례를 지켜보던 마을 사람들은 깜짝 놀랐습니다.
혼자 사는 노인으로 생각했는데 수많은 사람들이
조문하며 눈물 흘리는 걸 보고 놀랐고,
10억 원이 넘는 재산과 해마다 수천만 원의
인세 수입이 있는 작가라는 사실에
또 놀랐다고 합니다.

선생님의 유산은 현재, 유언에 따라
권정생 어린이 문화재단에서 관리하며
남북한과 분쟁지역 어린이 등을 돕는 활동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신의 아픔보다 타인의 아픔을 생각하는 사람
자신의 궁핍보다 어린아이의 굶주림을
먼저 생각하는 사람의 마음속에는
아름다운 사랑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 사람이 남기는 것마저
아름다운 것 같습니다.


# 오늘의 명언
새벽 종소리는 가난하고 소외받고 아픈 이가 듣고,
벌레며 길가에 구르는 돌멩이도 듣는데
어떻게 따뜻한 손으로 칠 수 있어.
– 권정생 선생님 –

 

* 글 출처 "따뜻한 하루"

'아름다운 글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른의 조건  (0) 2024.07.12
노 스마일(No Smile) 파업  (0) 2024.07.11
영원한 사랑  (0) 2024.07.09
우리 어머니가 확실합니다  (0) 2024.07.08
두 아빠와 입장  (0) 2024.07.05
영원한 사랑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었던 시기에
유럽에서 전해지는 이야기입니다.
'아모레 셈프레(영원한 사랑)'라는 이탈리아어가 적힌
두 통의 엽서를 가슴에 끌어안은 채 숨을 거둔
한 할머니의 사연입니다.

1941년 이탈리아의 장교였던 루이지는
그리스 아름다운 항구도시 파트라이로 파견되었고
그곳에서 운명적인 첫사랑 안겔리키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행군하던 루이지는 안겔리키에게 길을 물었고
그녀는 친절하게 길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그리고 루이지는 그녀가 굶주림에 지쳐 있음을 눈치채고는
갖고 있던 전투식량과 음식들을 그녀에게 나눠주었고
이를 계기로 이 두 남녀는 가까워졌습니다.

전쟁 중이라 식량 사정이 좋지 않았기에 이후에도
먹을 것을 들고 그녀의 집을 찾아갔고,
그렇게 서로의 말을 배우며 다른 사람의 눈을 피해
남몰래 사랑을 키워갔습니다.

그러나 1943년 이탈리아가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급하게 루이지는 고국으로 귀국해야 했습니다.
비록 적군의 장교였지만 그는 그녀에게 청혼했고
그녀도 청혼을 받아들였습니다.

그렇게 이탈리아로 돌아간 루이지는
그녀에게 매일 편지를 썼으나 답장을 받지 못했습니다.
사실은 그녀의 고모가 그들의 결혼을 막기 위하여
몰래 태워버렸던 것이었습니다.

루이지는 이를 모른 채 답장을 기다렸지만,
시간은 속절없이 흘렀고 실망한 그는
그녀가 변심했거나 다른 남자와 결혼했을 것으로 생각해
결국 루이지도 다른 여자와 결혼했다고 합니다.

세월이 지나 루이지의 아내가 세상을 떠나게 되자,
이제는 기억에서조차 희미한 옛사랑인
안겔리키를 찾고자 했습니다.

그의 노력에 많은 이들의 도움을 받아
루이지와 안겔리키는 반세기가 흐른 뒤에야
서로의 얼굴을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20대의 아름다운 모습은 이미 사라졌지만
안겔리키가 먼저 말했습니다.

"언젠가는 이런 날이 올 줄 알았어요."

사실 그녀는 60년 가까운 옛날의 결혼 약속을
여전히 믿으며 살던 지역을 떠나지 않고
독신으로 살아왔던 것입니다.

너무도 감격한 둘은 다시 결혼을 약속합니다.
당시 그들의 나이는 77세, 79세였습니다.
비록 예전의 젊은 모습은 아니지만,
그들의 사랑은 충분히 아름다운 것이었습니다.

이 만남 이후로 루이지는 청년 시절과 같이
안겔리키에게 매일 '아모레 셈프레(영원한 사랑)'라는
단어가 적힌 사랑의 편지를 보내며
다시 만날 날을 기다렸습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결혼식을 2주 남겨놓고
안겔리키는 그가 보낸 편지들을 가슴에 안고
숨을 거두기 전 이 말을 남겼다고 합니다.

'티 아스페토콘 그란데 아모레'
(난 위대한 사랑을 안고 그대를 기다렸어요)





사랑 앞에 주렁주렁 조건을 달아놓습니다.
그리고 사랑의 조건을 평가합니다.

그런데 과연 무엇이 남을까요?
남는다 한들 남은 것 중 어느 하나라도
진정한 사랑보다 값진 게 있을까요?


# 오늘의 명언
나는 그대를 사랑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사랑하는 겁니다.
– 막스 뮐러 –
 
* 글 출처 "따뜻한 하루"

'아름다운 글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 스마일(No Smile) 파업  (0) 2024.07.11
아름다운 사람이 세상에 남기는 것  (0) 2024.07.10
우리 어머니가 확실합니다  (0) 2024.07.08
두 아빠와 입장  (0) 2024.07.05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0) 2024.07.03

+ Recent posts